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전에서 마릿수를 만드는 슬로우 리트리브 릴링 루틴 3가지

by 낚시 여행자32 2025. 7. 2.
반응형

방파제에서 낚시하는 사진

슬로우 리트리브는 루어낚시의 가장 기본적인 액션입니다.
하지만 “그냥 천천히 감는 것 아닌가요?”라고 생각하는 순간,
입질 타이밍과 마릿수 조과를 놓치는 어마어마한 실수를 반복하게 됩니다.

 

특히 방파제 전갱이 루어낚시에서 슬로우 리트리브는 ‘감기’가 아니라

‘속도 조절 + 정지 + 수심 유지’까지 통합되는 전략적 운용 방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슬로우 리트리브의 기본 개념을 넘어, 고기의 반응과 조류 조건에

맞춰 마릿수를 높이는 실전 릴링 루틴 3가지릴링 속도, 정지 타이밍, 웜 조합,

입질 시점까지 완벽하게 설명드립니다.

 

목차

  1. 슬로우 리트리브가 왜 마릿수를 좌우하는가?
  2. 실전 루틴 ① “기본형” – 표층·중층 대응용 안정 운용
  3. 실전 루틴 ② “스탑 포인트형” – 입질 타이밍 유도 중심
  4. 실전 루틴 ③ “반응 유도형” – 고기 미반응 시 입질 만들기
  5. 결론: 조과를 만드는 건 ‘릴링의 감’이 아닌 ‘릴링의 구조’

 

1. 슬로우 리트리브가 왜 마릿수를 좌우하는가?

전갱이, 고등어, 우럭 같은 방파제 대상어는 미끼를 보고 바로 무는 경우보다,

일정 시간 추격하다가 멈춘 그 순간에 입질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슬로우 리트리브는 이 구조에서 “추격 → 기회 발생 → 공격”이라는 흐름을

릴링과 정지 타이밍으로 만들어주는 핵심 기술중 하나입니다.

 

✅ 슬로우 리트리브의 3대 요소

요소 설명
릴링 속도 루어 수심 유지 + 자연스러운 유영 연출
정지 타이밍 입질 유도 포인트 (2~4초)
떨림 유지 웜이 흐르듯 떨리는 속도 유지
 

2. 실전 루틴 ① “기본형” – 표층·중층 대응용 안정 운용

🎯 언제 쓰나?

  • 야간 집어등 근처 or 중층 활성도 좋을 때
  • 입질은 있으나 챔질 실패가 반복될 때

 

🎣 세팅 예시

항목 구성
지그헤드 0.8g 라운드형
1.8인치 스트레이트 / 클리어 글리터 계열
라인 PE 0.3호 + 쇼크리더 0.8호
릴링 속도 2초에 1바퀴
 

🧪 루틴 동작

  1. 카운트 2초 → 중층 수심 도달
  2. 릴링 2바퀴 (4초 소요)
  3. 정지 2초
  4. 릴링 2바퀴 → 정지 2초
  5. 반복 (총 10m 앞까지)

✅ 입질 타이밍: 정지 1초 후 라인에 텐션 변화 생길 때
→ 바로 낚싯대를 살짝 들어 올려 훅셋

 

❗ 자주 하는 실수

“계속 감기만 했는데 전혀 반응이 없었어요.”
“릴 속도는 느린데 루어가 자꾸 위로 떠요.”

이런 경우 대부분은 릴링 속도는 맞췄지만 카운트다운이 짧거나 정지 타이밍이 없음으로 인해
고기가 추격은 하지만 타이밍을 놓쳐 입질까지 연결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 카운트다운 기준

수심층 카운트 시간 (초)
표층 1~2초
중층 3~4초
저층 5~7초
 

중층을 공략할 때는 반드시 카운트 3초 이상 후 릴링 시작
→ 그래야 고기 시야에 맞는 수심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정지 시간의 효과

슬로우 리트리브의 정지 구간은 루어가 잠시 '먹잇감처럼 멈춰있는 상태'를 연출하며,
이 순간 추격 중이던 고기에게 공격 신호를 주는 핵심 타이밍입니다.

 

3. 실전 루틴 ② “스탑 포인트형” – 입질 타이밍 유도 중심

🎯 언제 쓰나?

  • 고기가 루어를 따라오기만 하고 입질을 하지 않을 때
  • 정지 상태에서 입질 유도를 필요시 할 때

 

🎣 세팅 예시

항목 구성
지그헤드 1.0g 라운드형
핀테일 / 야광 색상 계열
릴링 속도 1.5초에 1바퀴
 

🧪 루틴 동작

  1. 카운트 3초 → 중층 도달
  2. 릴링 1바퀴
  3. 정지 3초
  4. 릴링 1바퀴 → 정지 4초
  5. 2회 반복 후 트위치 1회 → 정지 2초

 

✅ 효과 포인트

  • 정지 후 루어가 ‘스르르 가라앉는 느낌’으로 고기 입질을 자극할 수 있음
  • 트위치 액션은 경계심 유발이 아닌 '확신에 느낌'이 목적

 

❗ 자주 하는 실수

“고기 따라오는 건 보이는데 물진 않아요.”
“입질이 너무 약해서 챔질 타이밍을 놓쳐요.”

이 상황은 고기가 루어에 흥미는 있지만 경계심이 남아 있는 경우로,
정지 구간을 길게 주지 않거나 리듬이 너무 일정할 때 자주 발생합니다.

 

✅ 정지 구간 설정 팁

고기 반응 정지 시간
추격만 있음 3~4초
입질 후 실패 2~3초
가라앉기 유도 필요 5초 이상
 

🎯 정지 중 낚싯대는 살짝 라인 텐션만 유지한 상태에서 입질을 감지할 것
→ 라인 텐션에 '툭' 오는 감각이 오면 그 순간이 훅셋 타이밍

 

4. 실전 루틴 ③ “반응 유도형” – 고기 미반응 시 입질 만들기

🎯 언제 쓰나?

  • 고기 움직임 거의 없음 / 조류 약함 / 정체 상황 등에 악조건 상황
  • 루어 존재 자체를 인식시키기 위한 ‘자극용’

🎣 세팅 예시

항목 구성
지그헤드 1.2g 다트형
1.5인치 핑크 / 차트리스트 색상 계열
릴링 속도 일정X (감기+정지+트위치 혼합)
 

🧪 루틴 동작

  1. 카운트 4초 → 중층 도달
  2. 릴링 2바퀴 → 정지 3초
  3. 트위치 2회 → 릴링 1바퀴 → 정지 2초
  4. 릴링 없이 낚싯대만 20도 각도로 리프트 → 정지 2초
  5. 반복

 

✅ 팁

  • 이 액션은 온전히 고기를 ‘불러오기’에만 집중됨
  • 루어가 가라앉는 시간 동안 주변 고기가 반응할 수 있도록 ‘머무는 타이밍’을 만들어 줘야 함

 

❗ 자주 하는 실수

“밤늦게 조용한 날에는 아예 입질이 없어요.”
“슬로우도, 정지도, 트위치 액션도 안 통해요…”

이런 날은 고기가 주위에 있긴 하지만 매우 느리게 움직이거나, 루어 존재 자체를

고기가 인식하지 못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즉, 자극 요소 부족 + 머무는 시간이 짧은 전형적인 조황 부진 상태입니다.

 

✅ 이런 날의 공략 키워드

항목 전략
루어 차트리스트, 야광 클리어 계열 혼합
지그헤드 1.2g~1.5g (살짝 무거워야 존재감 ↑)
액션 트위치 2회 + 리프트 앤 폴 + 정지 3초 반복
수심층 저층 -> 중층 (카운트 46초)
 

🎯 루어가 바닥까지 가라앉기 전, 중층에서 흔들리고 멈추는 동작을 반복
정지 중 고기 회유 포인트와 일치하는 순간 입질 유도 가능함

 

✅ TIP

이 전략은 “던지는 횟수보다 머무는 시간”이 조과를 만든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효과적입니다.

 

5. 결론: 조과를 만드는 건 ‘릴링의 감’이 아닌 ‘릴링의 구조’다

슬로우 리트리브는 느리게 감는 액션이 아니라, 고기와 루어의 타이밍을 맞추는 전략입니다.
입질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니라, 릴링과 정지의 리듬 속에 숨어 있다는 걸 잊지 마세요.

 

✅ 당신이 마릿수를 올리지 못한 이유는

  • 릴링이 너무 빠르거나
  • 정지 없이 계속 감기만 했거나
  • 고기와의 타이밍이 엇갈렸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상황에 따라 다음 3가지 루틴 중 하나만 정확히 적용하세요

  • 기본형: 중층 기본 대응 / 안정적 조과 확보
  • 스탑 포인트형: 정지 상태에서 입질을 집중 유도
  • 반응 유도형: 고기 반응 없을 때 입질 자극

 

✅ 핵심 요약표

루틴명 타깃 상황 릴링 구성 포인트
기본형 중층 탐색 / 안정적 조과 릴2 → 정지2 반복 집어등 주변, 중층
스탑 포인트형 추격만 있는 상황 릴1 → 정지3~4 / 트위치 경계심 높은 입질
반응 유도형 입질 없음 / 조류 약함 트위치 + 정지 반복 고기 유도용 전략

 

오늘부터는 감각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설계된 릴링 루틴을 직접 해보며 많은 마릿수를

만들어보세요.

반응형